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0

전통 메모리 업황, 테슬라 중 FSD, 라이콤, 240618 삼전 +2%  SK하이닉스 +5%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세 + AI붐전통 메모리(범용 D램, 낸드 플레쉬) 업황 좋아짐*범용 D램, NAND : 휴대폰, 노트북, pc에 들어가는 규격화된 D램, NAND키옥시아(일본, 반도체, 낸드 플레쉬 생산) 18개월째 감산을 하고 있었으나 감산을 종료하기로 함.삼전과 SK하이닉스의 상승폭이 다른것은 HBM 앤비디아의 납품TSMC +2%시총 1조 달러 돌파, 반도체 기업으로서 앤비디아 다음으로 두번째 기대씨티 목표가 1150TWD 12% 상향, 모건스텐리 1080TWD 10% 상향구글이나 퀄컴이 TSMC로 향하는 상황3나노 5%, 첨단 패키징(CoWoS) 20% 가격 인상 예상삼전은 3나노 공정 시작이 3년차지만 고객사가 없어 2나노 공정을 2026년부터 상용화 계획.. 2024. 6. 20.
현대차 IPO, 방산, 온디바이스AI 아이티엠반도체, 와이바이오로직스, 240617 10년물 국채금리 급격하게 하락 : 안전자산으로 쏠림이 있다. 주식시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나 신경써야 한다.금 상승: 프랑스 이슈가 좀 더 커지면 미 10년물 국채 금리 더 하락할수도 있고, 금값이 더 오를수도 있다.프랑스 CAC 지수 : 지난주 22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주간)리노공업 (반도체 후공정 부품) 2% 상승2대 주주 자산 운용사 와사치어드바이져가 지분 440억원 1% 장내 추가 매수, 지분 9%까지 늘렸다.레인보우로보틱스 2% 상승 (삼성전자가 지분 보유)도요타가 공장에 로봇 채용 검토중이라는 기사현대차 +4%, 기아 +5%인도 시장 자회사 IPO, 늦어도 10월까지 상장 완료 예상현대차 인도법인 상장 후 시총 최대 40조원 전망, 현대차 기업가차 재평가 촉발화승알앤에이 상 :.. 2024. 6. 18.
바이든과 트럼프의 정책 방향 바이든- 자국 기업 보호- 친환경 산업 정책에 우호적- 약가 인하 등 의료 지원 강화- 친환경 에너지, 헬스케어트럼프- 자국 기업 보호 + 미국 내 생산 선호- 전통 에너지 기업에 우호적- 약가 인상에는 회의적이나 IRA 철회 시사- 전통 에너지, 방산, 제약- IRA의 폐지 경우 화석, 원자력 에너지 분야 탄력 예상된다.- 엑손모빌(정유) 4% 상승에 그쳐 : 바이든의 정책상 수혜를 받지 못해서이다.- 바이든은 의료보장 범위를 더 확대하기 위해 IRA 정책을 통해 제약사의 약가 인하 추진으로 존슨앤존슨,  브리스톨마이어스스킵 등은 올해 들어 주가가 하락했다. - IRA가 폐지 된다면 제약업의 투자 심리가 살아날 수 있다.- 전력, 인프라는 누가 당선되든간에 상승 예상 업종, 미국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 2024. 6. 17.
애플 매직키보드 청소 이렇게 쉬웠어? feat.다이소 틈새솔 애플 매직키보드 검은색을 구매한 지도 몇 년이 흘렀는데 그동안 키보드 사이사이의 묵은 때와 같이 지냈다.정확히는 청소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간간히 검색을 해보기도 했는데 자판을 떼어내야 된다는 얘기도 있었다. 이 이물질들이 자판 안으로 점점 들어가버릴것 같은 두려움도 있었는데 이런 생각 때문에 자판을 떼어내서 청소해야 되나 보다 하고 막연히 생각만 하고 있었다. 그리고 요즘은 잘 모르겠으나 애플 제품 전용으로 키보드 덮개도 판매를 했던것 같다. 아주 예전 맥북에 얇은 덮개를 씌우고 사용한 적도 있었으나 나는 영 불편해서 조금 쓰다 방치하게 된 경험이 있어서 매직 키보드의 경우 아예 뭘 씌울 생각 자체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일단 예전에는 애플 제품 관련 액세서리 일 경우 가격이 많이 비쌌다. 이렇.. 2024. 6. 15.
원전과 제11차 전력수급 계획 실무안 PDF, KDI, LNG 언더스탠딩에서 원전 관련 영상을 보다가 '제11차 전력수급 계획 실무안' 이라는 것도 발행된다는 것을 알았다. 생각해보면 정부에서 계획없이 진행되는 일은 없을텐데 증권사 리포트 말고도 이런 계획을 가진 문서들도 관심을 좀 가지고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언더스텐딩 영상의 제목이 '원전에 올인했는데 동해에서 가스가 발견됐다?' 이다. 가스 발견 예상으로 소란스러운 요 몇일 원전주들이 가스 발견으로 생각보다 힘을 못 받고 조정이 일찍 들어갔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투자를 많이 했던 태양광의 비중보다 원전 비중이 높다 하니 태양광 섹터에 대한 생각도 연결지어보아야겠다. 어쩐 발견 될지 모를 가스, 태양광, 원전들이 연결지어지는 것처럼 정책 방향과 뉴스 등에서 종합적으로 하는 사고를 길러야겠다. '제11.. 2024. 6. 9.
MSCI 선진국 지수에 왜 편입이 되어야 하나? MSCI 선진국 지수에 왜 편입이 되어야 하나?MSCI가 지수를 활용해서 국가들을 분류해 놓는다. 지금 우리나라는 선진국이 아니라 신흥국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지수를 추종해서 움직이는 투자자금들이 있는데 신흥국이 아니라 선진국으로 편입이 되면 투자자금들이 우리나라로 많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외환 시장 개방이 약하다는 평가 등도 있었고, 글로벌 스텐다드에 안맞는 공매도 금지의 영향도 있다. 워치 리스트에도 못넣는다는 평으로 몇년 더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출처https://www.youtube.com/live/EjX_lyO6kVQ?si=iehR--dI14oYXTSn 2024. 6. 8.
금리 상승시 나타나는 일정한 패턴 금리가 오를때 수요가 줄어드는 경로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다. 아래와 같다. HOPE : Housing(부동산) -> Order(기업의 생산, 수주활동) -> Profit(이익) -> Employment(고용) 금리가 떨어지면 제일 먼저 부동산 수요가 줄어 든다. 그 다음 기업의 생산이나 수주 활동이 줄어든다. 수출과 글로벌 물동량이 줄어 경기와 다르게 경기 선행지수가 무너진다. 그리고, 이익이 빠지고, 고용을 줄인다. 지금은 기업의 이익이 빠져야 하는 사이클인데 이익이 빠자고 있지 않다. 경기 사이클은 하락하는데 산업 파동들은 계속 올라오고 있다. 연준과 경기만의 관점으로만 바라봐서는 안된다. 출처 https://youtu.be/5E6JGRa-B_w?si=-ma0kfTnXLIwRy0a 2024. 6. 1.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과 나의 주식 계좌 Feat.인베스팅닷컴 무엇이든 일단 잘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들어두기는 하는 편이라 10년물 국채 금리에 대해 흐릿하게나마 알고는 있었는데 이렇게 나의 계좌에 타격을 줄지는 몰랐다. 아주 정확히는 내 보유 종목이 내려갈만해서 내려간 건지 떠들썩하는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상승해서 내 계좌가 엉망인 건지는 모르겠다. 그나마 위로가 좀 되는 것은 시장이 많이 안좋다고 내가 직접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아무것도 몰랐을 때는 오히려 장이 좀 안 좋을 때가 편했다. 왜냐하면 장이 너무 좋으면 오르는 종목들이 많아 여기저기 기웃거리게 되기 때문에 눈이 너무 바쁘게 움직이고 충동적으로 매수 버튼을 클릭하게 되는데 오히려 장이 좀 나쁘면 명확하게 소수의 종목만 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은 나의 시야가 좀 넓어져서 위의 개념이 아니.. 2024. 5. 31.
미국 모래와 중국 반도체, 일본의 합성 석영 도가니 기술력 아래 내용은 언더스텐딩의 ‘미국 모래 뭐가 다르길래? 중국 반도체가 쩔쩔매는 이유‘를 내 입맛에 맞게 남겨놓았다. 링크는 하단에 있다. 미국이 중국산 반도체에 관세를 50%로 올리려고 한다. (25%에서 50%)로 상향하려고 함. 레거시 반도체에도 똑같이 적용하겠다는 의미이다. 중국이 왜 반발을 못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결론은 미국의 모래를 일본의 합성 석영으로 도가니를 만드는 기술이 유일한 시스템으로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기술력이 없다. 중국이 일본의 기술력을 이용하지 못하면 반도체를 만들 수 없다. *참고 (3N부터 고순도 석영) 모래에서 순도를 높이면 실리콘을 만들 수 있다. 실리카의 함량에 따라 활용처가 결정된다. 1N 90% 콘크리트 2N 99% 광학유리, LCD 3N 99.9% 특수.. 2024. 5. 26.
주식 종목 실적발표일 기간별, 종목별, 산업군별로 미리 알아두기 feat.인베스팅닷컴 ① 원하는 일정별로 실적발표되는 종목들 검색하기! ② 특정 종목의 실적발표일 알아보기! ③ 특정 산업군 종목들의 실적발표일도 확인할 수 있다.   주식을 하다보면 실적 뉴스로 해당 종목이 올라갈 때가 있는데 나의 경험으로는 실적 발표 당일 올랐다 빠지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처음에는 신호관리자의 뉴스 알림에서 해당종목의 실적발표일에 실적이 좋게 나왔다길래 매수버튼을 무작정 눌렀는데 내가 매수한 지점이 고점인 경우가 많았다. 그러니까 실적발표 전부터 올라서 실적 발표 당일이 되면 고점을 찍고 빠져버리는 것 같았다. 그 후로 유튜브 영상을 보다가 실적에 대해 기대감으로 실적발표일까지 올랐다가 실적발표일 당일 먼저 선점해 있던 매수자들의 매도로 빠져버리는 것 아닌가 싶다. 정말 주식을 잘하는 사람들은 고점에.. 2024. 5. 7.
반응형